본문 바로가기
생활 정보

화학Ⅰ에서 화학식량과 몰 계산

by 한번뿐인 삶 2025. 4. 10.
728x90
반응형

화학Ⅰ에서 화학식량과 몰 계산은 화학의 기본이자 계산 문제의 핵심입니다. 이걸 잘하려면 개념 이해 + 문제풀이 전략 + 반복 연습이 중요해요. 아래에 단계별로 정리해볼게요.


1. 핵심 개념 완벽 정리

화학식량(Mass of a chemical formula)

  • 정의: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의 원자량을 모두 더한 값
  • 단위: g/mol (그램 퍼 몰)
  • 예:H2O=(1.0×2)+16.0=18.0 g/molH_2O = (1.0 \times 2) + 16.0 = 18.0 \, g/mol

암기 필수 원자량

원소 H C N O Na Cl Mg Ca Fe

원자량 1 12 14 16 23 35.5 24 40 56

몰(mol)

  • 1몰 = 6.02 × 10²³개 (아보가드로 수)
  • **질량(g) ↔ 몰(mol) ↔ 개수(입자 수)**의 변환 관계가 중요!

변환 공식:

  1. 질량 → 몰몰 수=질량(g)화학식량(g/mol)\text{몰 수} = \frac{\text{질량(g)}}{\text{화학식량(g/mol)}}
  2. 몰 → 입자 수입자 수=몰 수×6.02×1023\text{입자 수} = \text{몰 수} \times 6.02 \times 10^{23}
  3. 기체일 때 부피 (상온/상압에서)기체의 부피(L)=몰 수×22.4\text{기체의 부피(L)} = \text{몰 수} \times 22.4

2. 문제 풀이 전략

기본 문제 접근 순서 (질량 → 몰 → 원하는 값)

예시 1) 물 36g은 몇 몰인가요?

  • 화학식량: H2O=18g/molH_2O = 18g/mol
  • 3618=2 mol\frac{36}{18} = 2 \, \text{mol}

예시 2) 이산화탄소 2몰은 몇 g인가요?

  • CO2=12+(16×2)=44g/molCO_2 = 12 + (16×2) = 44g/mol
  • 2×44=88 g2 \times 44 = 88 \, g

예시 3) Na 원자 3.01 × 10²³개는 몇 몰인가요?

  • 3.01×10236.02×1023=0.5 mol\frac{3.01 \times 10^{23}}{6.02 \times 10^{23}} = 0.5 \, mol

3. 문제 유형별 접근법

문제 유형 핵심 포인트

질량 ↔ 몰 화학식량으로 나누거나 곱함
몰 ↔ 입자 수 아보가드로 수 활용
몰 ↔ 부피 (기체) 22.4L/mol 사용 (상온/상압)
혼합물/반응식 계산 비례식 활용, 몰비 파악 중요

4. 실전 팁

1. 항상 단위 적기
→ 문제에서 주어진 단위가 g인지 mol인지, L인지 헷갈리면 오답!

2. 화학식량 먼저 정확히 구하기
→ 원자량 실수하면 끝에서 틀려요.

3. 연습은 다량으로!
→ 유형별로 3~5문제씩 반복하면 감이 옵니다.

4. 반응식 문제에서는 몰비(mol 비율) 꼭 보기
→ 예: 2H2+O2→2H2O2H_2 + O_2 \rightarrow 2H_2O


5. 추천 연습문제 예시

  1. 88g의 CO₂는 몇 몰인가요?
  2. 0.25mol의 물 분자는 몇 개입니까?
  3. 5.6L의 산소 기체는 몇 몰인가요? (상온/상압 기준)

 


 

728x90
반응형